
TOK를 공부했던 학생으로써 TOK를 간단하게 정의하자면 “지식에 대한 철학적 접근”이라고 짧게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대다수의 학생들은 우리가 왜 지식에 대해 공부를 해야하나, 이과 학생들은 왜 나는 이과를 가려고 하는데 이런 에세이와 철학과 비슷한 수업을 굳이 들어야하나 많은 불평을 늘어놓곤 합니다.
Extended Essay (EE) 와 TOK 점수에 따라 IB 45점 만점 중 3점을 차지하는 Core 점수가 결정되는데, IB 총점 1, 2점 차이로 입시 결과가 바뀔 수 있기 때문에 TOK를 커리큘럼에서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오히려 잘 해두면 시험에서의 불확실성을 일부 해소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도 있겠습니다.
자, 그럼 TOK가 생소한 학생들을 위해 TOK라는 과목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TOK Exhibition
TOK Exhibition은 최근 새롭게 도입된 요소로 이전의 TOK Presentation을 대체하며 총 TOK점수의 33%를 차지하는 Internal Assessment (IA; 내부 평가) 입니다.
10점 만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TOK prompt라는 35개의 주어진 철학적 질문들knowledge questions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며, 이후 세가지의 대상object를 정해 950자 이내로 논의를 펼쳐야 합니다. 각 대상object 당 약 320자의 짧은 commentary를 써야하기 때문에 단어 수에도 주의해야합니다.
TOK Exhibition의 구조는 크게 세가지로 나뉩니다.
구조1. Identify the Object and its specific real-world context. 대상을 정하고 실제 사회와 연결 짓는 부분.
학생이 고른 object에 대하여 묘사 또는 설명을 해야하며, 그 object가 실제 사회에서 어떻게 사용되고있는지/사용되었는지 설명을 해야합니다. 그렇다면 어떤 object를 골라야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을까요? 가장 중요한 점은 object의 디테일한 선정입니다. 예를 들어, “a gun”은 불명확하며 논지를 펼치기 어렵습니다. 반면, “the gun that Hitler shot himself with 히틀러가 자결 시 사용했던 총”으로는 할 수 있는 얘기가 많아집니다. 이렇듯 현실의 사건이나 배경과 연결 가능한 object를 선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나머지 두 개는 관계 없지만, 3개의 object 중 적어도 한 가지는 나와 개인적인 관련이 없는 object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가지 더 기억할만한 점은 object는 물질적physical이어도 되고 실체가 없어도digital 된다는 점입니다. 위의 “히틀러가 사용했던 총”은 물질적인 예가 되겠고, “a twitter post written by Donald Trump about COVID-19 crisis 트럼프 대통령이 코로나 위기에 대해 올린 트위터 글” 은 디지털 object의 예가 되겠습니다. 참고로, 세가지의 object들은 서로 연관성이 없어도 됩니다.
구조2. Explain the link between the object and the prompt. 선정한 대상과 대답하고자 하는 질문을 연결 짓는 부분.
학생이 고른 object와 TOK prompt의 연관성을 확실히 보여줘야 하는 부분입니다.
구조3. Justify the inclusion of the object. 왜 그 대상을 선택했는지 설명하는 부분.
학생은 이 부분에서 왜 그 object를 선택했는지 타당한 이유를 보여줘야합니다. 왜 그 object를 포함/선택 한 것이 TOK prompt를 설명하는 대에 있어서 더 도움이 되었는지에 대하여 논의를 해야하는 부분입니다.
2. TOK Essay
TOK 에세이는 TOK 과목 총 점수 중 무려 66%를 차지하는 external assessment (EA; 외부평가) 입니다. Exhibition과 동일하게 10점 만점이지만 비중이 두배인만큼, 받은 점수에 두배를 해서 최종 점수가 결정됩니다. Exhibition과는 다르게 에세이 같은 경우, 학교 내에서 채점하는 것이 아닌, IBO로 에세이가 보내져 채점됩니다. 그렇기에 표절 확인이나 심사 기준이 더 까다로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학생들은 6개의 주제 essay title 중 하나를 골라야 하며 이를 두개의 지식의 분야 areas of knowledge (AOK)에 연관 지어 1600자의 에세이를 작성해야합니다. 또한, 선택한 주제 prescribed title에서 파생된 2-3개의 관련 질문 knowledge question을 만들어 이를 2-3개의 문단으로 나누어 답해야 합니다.
TOK Essay의 구조는 크게 세가지로 나뉩니다.
구조1. 주제 고르기
좋은 주제, 나쁜 주제 같은 것은 없기 때문에 학생이 가장 자신 있어 하는 주제를 고르는것이 가장 좋습니다.
구조2. AOK 고르기
위에서 말했듯이, 학생은 두개의 AOK를 골라 에세이를 작성해야하기 때문에 AOK를 고를 때 좋은 팁을 드리려고 합니다. 비슷한 AOK는 최대한 피해주시고 (e.g. Mathematics & Natural science), 상반되는 AOK를 골라 주시는게 제일 좋습니다. (e.g. Human science & Natural science) (e.g. Natural science & Religious knowledge system). 보통 자연과학은 쓸 수 있는 내용과 실생활 예시들이 다양하기 때문에 많이 고르는 편입니다.
구조3. Knowledge Question 만들기
TOK essay는 좋은 knowledge question을 만들어야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습니다. 보통 knowledge question은
How do we know ____? 우리는 __에 대해서/__라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To what extent ____? 얼마만큼?
로 시작하여 지식의 본질에 대해 질문을 합니다.
더불어, 읽고 있을 학생들을 위해 유용한 예시를 공유합니다.
예시1. Knowledge Question 만들기
Example Prescribed Title from IB 2017 May: “Humans are pattern-seeking animals and we are adept at finding patterns whether they exist or not” (adapted from Michael Shermer). Discuss knowledge questions raised by this idea in two areas of knowledge.
Example Knowledge Questios:
How do we know that patterns exist within different areas of knowledge?
How can we know what motivates humankind in its search for patterns?
How do we know that human’s pattern seeking action is compelling, but ultimately misleading?
예시2. TOK Essay 추천 형식
* Introduction
* 2-3 Body paragraph
Thesis statement
Knowledge question
AOK 1 - Example
AOK 1 - Explanation
AOK 2 - Counter example
AOK 2 - Counterclaim (counter-explanation)
Implication
Conclusion

TOK를 공부했던 학생으로써 TOK를 간단하게 정의하자면 “지식에 대한 철학적 접근”이라고 짧게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대다수의 학생들은 우리가 왜 지식에 대해 공부를 해야하나, 이과 학생들은 왜 나는 이과를 가려고 하는데 이런 에세이와 철학과 비슷한 수업을 굳이 들어야하나 많은 불평을 늘어놓곤 합니다.
Extended Essay (EE) 와 TOK 점수에 따라 IB 45점 만점 중 3점을 차지하는 Core 점수가 결정되는데, IB 총점 1, 2점 차이로 입시 결과가 바뀔 수 있기 때문에 TOK를 커리큘럼에서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오히려 잘 해두면 시험에서의 불확실성을 일부 해소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도 있겠습니다.
자, 그럼 TOK가 생소한 학생들을 위해 TOK라는 과목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TOK Exhibition
TOK Exhibition은 최근 새롭게 도입된 요소로 이전의 TOK Presentation을 대체하며 총 TOK점수의 33%를 차지하는 Internal Assessment (IA; 내부 평가) 입니다.
10점 만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TOK prompt라는 35개의 주어진 철학적 질문들knowledge questions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며, 이후 세가지의 대상object를 정해 950자 이내로 논의를 펼쳐야 합니다. 각 대상object 당 약 320자의 짧은 commentary를 써야하기 때문에 단어 수에도 주의해야합니다.
TOK Exhibition의 구조는 크게 세가지로 나뉩니다.
구조1. Identify the Object and its specific real-world context. 대상을 정하고 실제 사회와 연결 짓는 부분.
학생이 고른 object에 대하여 묘사 또는 설명을 해야하며, 그 object가 실제 사회에서 어떻게 사용되고있는지/사용되었는지 설명을 해야합니다. 그렇다면 어떤 object를 골라야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을까요? 가장 중요한 점은 object의 디테일한 선정입니다. 예를 들어, “a gun”은 불명확하며 논지를 펼치기 어렵습니다. 반면, “the gun that Hitler shot himself with 히틀러가 자결 시 사용했던 총”으로는 할 수 있는 얘기가 많아집니다. 이렇듯 현실의 사건이나 배경과 연결 가능한 object를 선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나머지 두 개는 관계 없지만, 3개의 object 중 적어도 한 가지는 나와 개인적인 관련이 없는 object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가지 더 기억할만한 점은 object는 물질적physical이어도 되고 실체가 없어도digital 된다는 점입니다. 위의 “히틀러가 사용했던 총”은 물질적인 예가 되겠고, “a twitter post written by Donald Trump about COVID-19 crisis 트럼프 대통령이 코로나 위기에 대해 올린 트위터 글” 은 디지털 object의 예가 되겠습니다. 참고로, 세가지의 object들은 서로 연관성이 없어도 됩니다.
구조2. Explain the link between the object and the prompt. 선정한 대상과 대답하고자 하는 질문을 연결 짓는 부분.
학생이 고른 object와 TOK prompt의 연관성을 확실히 보여줘야 하는 부분입니다.
구조3. Justify the inclusion of the object. 왜 그 대상을 선택했는지 설명하는 부분.
학생은 이 부분에서 왜 그 object를 선택했는지 타당한 이유를 보여줘야합니다. 왜 그 object를 포함/선택 한 것이 TOK prompt를 설명하는 대에 있어서 더 도움이 되었는지에 대하여 논의를 해야하는 부분입니다.
2. TOK Essay
TOK 에세이는 TOK 과목 총 점수 중 무려 66%를 차지하는 external assessment (EA; 외부평가) 입니다. Exhibition과 동일하게 10점 만점이지만 비중이 두배인만큼, 받은 점수에 두배를 해서 최종 점수가 결정됩니다. Exhibition과는 다르게 에세이 같은 경우, 학교 내에서 채점하는 것이 아닌, IBO로 에세이가 보내져 채점됩니다. 그렇기에 표절 확인이나 심사 기준이 더 까다로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학생들은 6개의 주제 essay title 중 하나를 골라야 하며 이를 두개의 지식의 분야 areas of knowledge (AOK)에 연관 지어 1600자의 에세이를 작성해야합니다. 또한, 선택한 주제 prescribed title에서 파생된 2-3개의 관련 질문 knowledge question을 만들어 이를 2-3개의 문단으로 나누어 답해야 합니다.
TOK Essay의 구조는 크게 세가지로 나뉩니다.
구조1. 주제 고르기
좋은 주제, 나쁜 주제 같은 것은 없기 때문에 학생이 가장 자신 있어 하는 주제를 고르는것이 가장 좋습니다.
구조2. AOK 고르기
위에서 말했듯이, 학생은 두개의 AOK를 골라 에세이를 작성해야하기 때문에 AOK를 고를 때 좋은 팁을 드리려고 합니다. 비슷한 AOK는 최대한 피해주시고 (e.g. Mathematics & Natural science), 상반되는 AOK를 골라 주시는게 제일 좋습니다. (e.g. Human science & Natural science) (e.g. Natural science & Religious knowledge system). 보통 자연과학은 쓸 수 있는 내용과 실생활 예시들이 다양하기 때문에 많이 고르는 편입니다.
구조3. Knowledge Question 만들기
TOK essay는 좋은 knowledge question을 만들어야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습니다. 보통 knowledge question은
How do we know ____? 우리는 __에 대해서/__라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To what extent ____? 얼마만큼?
로 시작하여 지식의 본질에 대해 질문을 합니다.
더불어, 읽고 있을 학생들을 위해 유용한 예시를 공유합니다.
예시1. Knowledge Question 만들기
Example Prescribed Title from IB 2017 May: “Humans are pattern-seeking animals and we are adept at finding patterns whether they exist or not” (adapted from Michael Shermer). Discuss knowledge questions raised by this idea in two areas of knowledge.
Example Knowledge Questios:
How do we know that patterns exist within different areas of knowledge?
How can we know what motivates humankind in its search for patterns?
How do we know that human’s pattern seeking action is compelling, but ultimately misleading?
예시2. TOK Essay 추천 형식
* Introduction
* 2-3 Body paragraph
Thesis statement
Knowledge question
AOK 1 - Example
AOK 1 - Explanation
AOK 2 - Counter example
AOK 2 - Counterclaim (counter-explanation)
Implication
Concl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