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 Language A (Language & Literature) 커리큘럼 개편
Language and Literature는 어떤 과목인가
IB Studies in Language and Literature 과목군 (Group 1)은 Literature와 Language & Literature로 구성됩니다. 그 중 Language & Literature 과목의 경우 비문학 비중이 절반 정도를 차지하고 문학 분석이 IB Literature 보다 수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영어가 완전히 모국어는 아니지만 IGCSE Literature를 이수했거나 에세이 실력이 크게 떨어지지 않은 학생들이 선호하는 과목입니다.
Language and Literature 커리큘럼 변화
2019년 IB 시작 학생 대상으로 대대적인 커리큘럼 변화가 있을 예정입니다. 우선 점수 배분에 있어서의 변화를 살펴보겠습니다. Internal Assessment 가 초록색, External Assessment가 파란색으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2017-2018년 IB시작 학생 | 2019년 IB 시작 학생 |
| SL/ HL |
| SL | HL |
FOA | 15% | 30% | Individual Oral | 30% | 20% | 20% |
IOC | 15% |
Written Task (1/2) | 20% | 70% | HL Essay |
| 20% | 80% |
Paper 1 Paper 2 | 50% | Paper 1 Paper 2 | 70% | 35% 25% |
점수 배분 변화
Internal 과 External grade의 비중에는 큰 변화가 없습니다만 5월 본고사인 Paper 1 및 2의 비중이 막대하게 늘었습니다. 학기 진행 중에 제출했던 Written Task가 사라지면서 그 비중이 본고사로 옮겨간 것입니다. 따라서 학기 중에 점수를 획득하여 쌓는 것이 아니라5월에 열리는 두 차례의 에세이 시험으로 최종 점수가 50% 이상 확정되는 것입니다.
다음으로 각 시험의 구성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2017-2018년 IB시작 학생 | 2019년 IB 시작 학생 |
FOA | 15 | 비문학 텍스트에 대한 구술 분석 (사전 준비 가능) | Individual Oral | 비문학과 문학 텍스트를 각각 1편씩 선정하여 국제 이슈와 연관 지어 발표 (문학분석) | SL | 30 |
IOC | 15 | 문학 텍스트에 대한 구술 분석 (사전 준비 한계) | HL | 20 |
Written Task | 20 | (1) 특정 (비)문학 텍스트를 창의적으로 작성 (2) 문학 텍스트 분석 (HL) | HL Essay | 문학 텍스트 분석 (1200-1500 words) | HL | 20 |
Paper 1 | 25 | SL: 비문학 텍스트 분석 | SL: (비)문학 텍스트 분석 | SL | 35 |
HL: (비)문학 텍스트 2편 비교분석 | HL: (비)문학 텍스트 2편 개별분석 (선택권 X) | HL | 25 |
Paper 2 | 25 | 이미 진도를 나간 2편의 문학 작품을 주어진 주제에 따라 분석 | 6문항 -> 4문항 | SL | 35 |
HL | 35 |
시험 내용 변화
FOA 및 IOC로 구성되었던 Internal Assessment가 Individual Oral로 통합되었을 때 가장 눈에 띄는 것은 학생의 선택권입니다. 비문학 및 문학 작품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은 사전 준비 시간이 주어진다는 뜻이며, IOC 의 즉흥성이 배제된 상태에서 성실하게 준비하여 높은 점수를 노릴 가능성이 생긴 것입니다. 특히 SL 학생 중 에세이 실력이 부족한 학생의 경우 점수를 확보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커리큘럼 구성 역시 비문학 및 문학으로 나누지 않고 주제 중심으로 나누게 되어 문학 텍스트의 맥락 이해에 비문학 텍스트를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가 평가의 중심에 놓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리하여 말씀 드리면, 서구근대역사에 밝은 학생이나 평소 신문을 즐겨읽고 국제사회 동향을 살피는 학생에게는 더욱 유리한 변화라 할 수 있겠습니다. 또한 점수가 낮아 Individual Oral을 일종의 만회할 기회로 삼으려는 학생은 텍스트 및 주제 선정 단계부터 도움을 받는 것을 적극 권장합니다.
IB Language and Literature 준비요령
사회역사적 맥락을 통한 문학작품 이해가 새로 만들어진 Individual Oral 의 핵심입니다. 따라서, 신문을 주기적으로 읽으며 세계 동향을 살피는 습관이 엄청난 차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본고사의 점수 비중이 높아진 지금 Paper 1 처럼 예측불가한 시험은 장기적인 준비가 필수적입니다. 특히 국내에서만 영어를 공부한 학생의 경우, 관습적으로 생각하는 “공부에 도움되는 영어 글” 내지는 “고급진 영어가 쓰이는 글” 보다는 가십, 풍자, 유머, 은어 등이 많이 등장하는 다소 가벼운 소재의 글을 읽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 글은 저작권 법에 따라 보호받고 있으며 출처를 밝히지 않고 무단으로 도용할 시 민, 형사상 책임을 지게 됩니다.
Copyright 2019. IBSEPT. All rights reserved.
2019 Language A (Language & Literature) 커리큘럼 개편
Language and Literature는 어떤 과목인가
IB Studies in Language and Literature 과목군 (Group 1)은 Literature와 Language & Literature로 구성됩니다. 그 중 Language & Literature 과목의 경우 비문학 비중이 절반 정도를 차지하고 문학 분석이 IB Literature 보다 수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영어가 완전히 모국어는 아니지만 IGCSE Literature를 이수했거나 에세이 실력이 크게 떨어지지 않은 학생들이 선호하는 과목입니다.
Language and Literature 커리큘럼 변화
2019년 IB 시작 학생 대상으로 대대적인 커리큘럼 변화가 있을 예정입니다. 우선 점수 배분에 있어서의 변화를 살펴보겠습니다. Internal Assessment 가 초록색, External Assessment가 파란색으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2017-2018년 IB시작 학생
2019년 IB 시작 학생
SL/ HL
SL
HL
FOA
15%
30%
Individual Oral
30%
20%
20%
IOC
15%
Written Task (1/2)
20%
70%
HL Essay
20%
80%
Paper 1
Paper 2
50%
Paper 1
Paper 2
70%
35%
25%
점수 배분 변화
Internal 과 External grade의 비중에는 큰 변화가 없습니다만 5월 본고사인 Paper 1 및 2의 비중이 막대하게 늘었습니다. 학기 진행 중에 제출했던 Written Task가 사라지면서 그 비중이 본고사로 옮겨간 것입니다. 따라서 학기 중에 점수를 획득하여 쌓는 것이 아니라5월에 열리는 두 차례의 에세이 시험으로 최종 점수가 50% 이상 확정되는 것입니다.
다음으로 각 시험의 구성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2017-2018년 IB시작 학생
2019년 IB 시작 학생
FOA
15
비문학 텍스트에 대한 구술 분석
(사전 준비 가능)
Individual Oral
비문학과 문학 텍스트를 각각 1편씩 선정하여 국제 이슈와 연관 지어 발표 (문학분석)
SL
30
IOC
15
문학 텍스트에 대한 구술 분석
(사전 준비 한계)
HL
20
Written Task
20
(1) 특정 (비)문학 텍스트를 창의적으로 작성 (2) 문학 텍스트 분석 (HL)
HL Essay
문학 텍스트 분석 (1200-1500 words)
HL
20
Paper 1
25
SL: 비문학 텍스트 분석
SL: (비)문학 텍스트 분석
SL
35
HL: (비)문학 텍스트 2편 비교분석
HL: (비)문학 텍스트 2편 개별분석 (선택권 X)
HL
25
Paper 2
25
이미 진도를 나간 2편의 문학 작품을 주어진 주제에 따라 분석
6문항 -> 4문항
SL
35
HL
35
시험 내용 변화
FOA 및 IOC로 구성되었던 Internal Assessment가 Individual Oral로 통합되었을 때 가장 눈에 띄는 것은 학생의 선택권입니다. 비문학 및 문학 작품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은 사전 준비 시간이 주어진다는 뜻이며, IOC 의 즉흥성이 배제된 상태에서 성실하게 준비하여 높은 점수를 노릴 가능성이 생긴 것입니다. 특히 SL 학생 중 에세이 실력이 부족한 학생의 경우 점수를 확보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커리큘럼 구성 역시 비문학 및 문학으로 나누지 않고 주제 중심으로 나누게 되어 문학 텍스트의 맥락 이해에 비문학 텍스트를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가 평가의 중심에 놓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리하여 말씀 드리면, 서구근대역사에 밝은 학생이나 평소 신문을 즐겨읽고 국제사회 동향을 살피는 학생에게는 더욱 유리한 변화라 할 수 있겠습니다. 또한 점수가 낮아 Individual Oral을 일종의 만회할 기회로 삼으려는 학생은 텍스트 및 주제 선정 단계부터 도움을 받는 것을 적극 권장합니다.
IB Language and Literature 준비요령
사회역사적 맥락을 통한 문학작품 이해가 새로 만들어진 Individual Oral 의 핵심입니다. 따라서, 신문을 주기적으로 읽으며 세계 동향을 살피는 습관이 엄청난 차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본고사의 점수 비중이 높아진 지금 Paper 1 처럼 예측불가한 시험은 장기적인 준비가 필수적입니다. 특히 국내에서만 영어를 공부한 학생의 경우, 관습적으로 생각하는 “공부에 도움되는 영어 글” 내지는 “고급진 영어가 쓰이는 글” 보다는 가십, 풍자, 유머, 은어 등이 많이 등장하는 다소 가벼운 소재의 글을 읽는 것이 중요합니다.
Copyright 2019. IBSEPT. All rights reserved.